하우스앱은 살아남기 위해 '숏폼'을 택했습니다
하우스앱은 더 이상 가구, 인테리어 분야가 아닙니다 가구, 인테리어 분야 앱 하면 떠오르는 앱이 있습니다. 바로 '오늘의집'인데요. (시작부터 위험한 타사 언급..) 모바일 인덱스에 따르면 2022년 1월부터 10월까지 오늘의집의 평균 점유율은 89.165%입니다. (참조 - 1위와 2위의 차이가 압도적으로 큰 39개 업종 살펴보기(앱 MAU 기준)) 1위와 큰 차이를 보이긴 하지만 2위 앱도 분명 있습니다. 바로 '하우스앱'이죠. 하지만 하우스앱은 더 이상 가구, 인테리어 분야에 속하지 않습니다. 2021년 6월 숏폼 리뷰 커머스로 재탄생했기 때문인데요. 성장세가 심상치 않습니다. 하우스앱의 매출은 2021년 13억원에서 서비스 전환 이후 2022년 100억원으로 증가했습니다. 연 거래액은 2022년 1000억원을 넘어섰고 누적 가입자 수도 300만명을 돌파했고요. 하우스앱이 기업의 명운을 걸고 피보팅(사업 전환)한 결과였죠. 인테리어 앱에서 숏폼 커머스가 되기까지 하우스앱은 2021년 6월 피보팅에 본격적으로 나섰습니다. 경쟁사에 비해 성과가 부진했기 때문인데요. 가구, 인테리어 분야를 어느 정도 키운 다음 매각을 하느냐 혹은 추가 투자를 유치하느냐 중대한 선택의 기로에 섰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