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를 활용한 글쓰기 자동화 어디까지 가능할까? 직접 실험해 봤습니다
요즘 스타트업 업계 사람들과 미팅을 하다 보면 다들 'AI 자동화'에 관심이 많다는 걸 느낍니다. 특히 텍스트 콘텐츠 생산에는 AI 자동화가 많이 침투한 것 같습니다. 사내 블로그 운영의 80%를 자동화했다는 실무자도 있고, 브랜딩 구축에 도움이 될 만한 고퀄리티 콘텐츠를 양산할 방법을 고민 중이라는 대표도 있었거든요. 당장 인터넷에 'AI 자동화 블로그'라고만 검색해도 세팅 방법을 안내하는 포스팅이 빼곡히 나오는 판국이니 당연합니다. 저 역시 텍스트 콘텐츠를 써서 먹고살고 있기는 하지만, 작년까지만 해도 이런 흐름에 대해 크게 감흥이 없었습니다. 심층 취재나 인터뷰를 거쳐서 작성하는 '롱폼 콘텐츠'는 AI만으로 구현하기 어려웠거든요. 물론 콘텐츠 한 편을 쓸 때 마주하는 무수한 의사결정 과정에 AI의 도움을 받을 수는 있습니다. 그걸 'AI 활용'이라고 부를 수도 있고요. 하지만 일일이 질문을 해 가면서 도움을 얻는 방식으로는 작성 시간이 딱히 줄어드는 것 같지 않았습니다. 파괴적인 생산성 증가… 그런 걸 하려면 '휴먼 터치'가 필요한 영역을 줄여야 하는데, 필자의 고민과 손품이 닿지 않은 콘텐츠에 힘이 있을 리 없고요. 하지만 올해부터는 슬슬, 아무리 롱폼 콘텐츠 제작이 업이라도 가능한 한 많은 영역을 자동화하려고 노력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아마 제가 다니던 채널톡이 AI 자동화에 관심이 많은 곳이라 영향을 받은 것도 있을 것 같고요. 여전히 저 개인적으로는 콘텐츠 비즈니스에 관심이 많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분명히 아웃스탠딩 재직 시절 '지금 떠오르는 이 수많은 아이디어들을 빠르게 툭툭 뱉어내면서 일할 수 있다면 참 좋을 텐데!'라는 생각을 한 적이 있거든요. 만약 롱폼 콘텐츠 제작이나 확산에 AI 자동화가 들어갈 여지가 있다면, 콘텐츠 비즈니스의 지속가능성에 큰 도움이 되지 않을까요? 그래서 이번 아웃스탠딩 기고에서는 제가 서투르게나마 셀프 AI 자동화를 시도한 내용과 그 소감을 정리해 보기로 했습니다. 물론 저는 자동화 툴도 최근에야 다뤄 보기 시작해서 아직 잘 모르고, 프롬프트를 잘 쓰는 것도 아닙니다. 다만 직업적으로 롱폼 콘텐츠를 생산해 본 사람의 시각을 말씀드릴 수는 있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