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르는 사람 집에서 자게 만드는 신뢰의 비밀
*이 글은 외부 필자인 김영준님의 기고입니다. 어렸을 때 어머니가 하지 말라던 것들이 있었죠. 모르는 사람 차에 타지 말라고요. 90년대까지만 해도 인신매매에 관한 뉴스나 기사들이 종종 나오던 시절이라 걱정되어서 하신 말씀입니다. 하지만 지금은 어떤가요? 모르는 사람의 차에 타는 것이 모빌리티의 혁신이라 불리고, 모르는 사람의 집에서 숙박을 하는 것이 공유경제의 대표 사례로 꼽히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더 나아가 모르는 사람과 소개팅을 하고 모르는 사람이 진행하는 프로그램을 체험하는 시대가 되었죠. 생각해 보면 이상한 일입니다. 우리가 언제부터 이렇게 모르는 사람들에게 관대해졌나요? 사실 관대해진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타인에게 매우 배타적이죠. 우리나라 사람의 80%가 공동주택에 살지만 그 공동주택에서 같이 살아가는 이웃에 대해서 우리는 아는 게 없습니다. 아는 것이 없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경계해야 하는 존재로 인식하기도 하죠. 정말 극단적으로는 물리적으로 가장 가까운 옆집 사람과 마주치는 것을 기피하고 경계하기도 합니다. 흔히 지방 소도시의 외부인에 대한 배타성을 많이 비판하지만 그 배타성은 거대 도시의 거주민에게서도 크게 다르지 않은 모습으로 발현되고 있습니다. 단지 같은 마을 사람들끼리 너무나도 잘 알기에 잘 모르는 외부인을 배척하는 지방 소도시 마을 사람들과 모르는 사람들로 둘러 싸여 있기에 그 안에서 공존하는 법을 익혀야 하는 대도시 사람의 환경 차이일 뿐이죠. 그런데 이토록 배타적인 사람들이 모르는 사람의 차와 집을 이용하고 만나는 데 거리낌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