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2000만명이 쓰는 새벽배송 없애라니”.. 민주노총, 심야배송 전면 금지 주장
이승아 기자
2025-10-28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쿠팡·컬리 등 국내 e커머스 업체의 새벽 배송 서비스를 전면 금지하자고 주장해 논란이 일고 있다. 택배기사 과로 방지를 위한 조치라는 입장이지만, 2000만 명에 달하는 소비자 편익을 무시한 ‘과잉 규제’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28일 한국경제 보도에 따르면 민주노총 산하 전국택배노조는 지난 22일 열린 ‘택배 사회적 대화 기구’ 회의에서 오전 0시부터 5시까지 심야 배송을 금지하고, 오전 5시·오후 3시 두 개조로 나눠 주간 배송만 허용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더불어민주당, 국토교통부, 쿠팡, 컬리, CJ대한통운 등 주요 이해당사자가 참여한 대화 기구는 논의를 거쳐 연말에 최종 합의문을 발표할 예정이다.

새벽 배송이 중단되면 쿠팡 ‘로켓배송’, 컬리 ‘샛별배송’ 등 익일 배송 서비스를 이용하던 소비자는 밤에 주문한 상품을 다음 날 아침 받아보지 못하게 된다. 업계는 쿠팡(1500만명), 컬리(160만명), SSG닷컴·오아시스마켓 등을 포함한 이용자가 2000만명에 이른다고 추산한다.

새벽 배송 시장 규모는 2018년 5000억원에서 지난해 11조9000억원으로 급성장했고, 올해는 15조원에 이를 전망이다. 업계는 “생활 인프라로 자리 잡은 새벽 배송을 일방적으로 금지하면 소비자 선택권이 침해되고 농가·소상공인까지 피해를 본다”고 우려했다.

쿠팡·컬리 등은 그간 물류센터와 자동화 설비에 수조 원을 투자하며 익일 배송 체계를 구축해 왔다. 업계에서는 “민주노총의 요구는 일부 조합원의 이익만 고려한 처사로, 20년에 걸친 물류 혁신을 되돌리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