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임, 콘텐츠 그리고 커뮤니티.. 요즘 브랜딩의 3가지 조건
*이 글은 외부 필자인 최정훈님의 기고입니다. 지난 글에서 지금의 브랜딩은 기존 아날로그 시대 브랜딩과는 완전히 다른 개념이라는 이야기를 했습니다. 그럼 요즘 브랜딩은 무엇이 달라졌을까를 설명하기 위해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의 기본 구조에 대해서도 언급을 했는데요. 지난 글이 아날로그 시대에 만들어진 브랜딩의 개념은 버려야 한다는 이야기였다면, 이번 글에선 '요즘 브랜딩은 뭔데?' 라는 것에 대해 좀 더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그러기 위해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구조를 다시 살펴봐야겠습니다. 결국 브랜딩이라는 활동이 송신자가 수신자, 즉 브랜드가 소비자에게 미디어를 통해 메시지를 전달한다는 기본 전제는 변하지 않으니까요. 위 구조를 중심으로 무엇이 변했는지와 대응 방법에 대해 다시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첫째, 수신자는 더 이상 '대중'이라는 이름으로 정의할 수 없습니다. 위의 도식 자체가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을 일반화한 것이긴 하지만, 이제 더 이상 수신자들을 뭉뚱그려 '대중'이라고 정의할 수 없죠. 물론 전통적인 커뮤니케이션에도 '코어 타깃'이라는, 인구통계학적으로 대중보다는 좀 더 타깃을 좁히는 방식이 존재합니다. 요즘도 MZ 세대가 이렇다~하는 연구는 많은 편이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