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김도헌
대중음악평론가 김도헌입니다. 음악 플랫폼 제너레이트(https://www.realzenerate.com
)를 운영합니다.
SM은 왜 과격한 변화를 선택했을까요?
*이 글은 외부 필자인 김도헌님의 기고입니다. SM엔터테인먼트가 커다란 변화를 마주했습니다. 지난 10일, 방시혁 의장이 이끄는 하이브가 SM엔터테인먼트 창업자인 이수만 전 총괄 프로듀서가 보유한 지분 14.8%를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참조 - SM엔터테인먼트 다트 공시) 국내 엔터테인먼트 회사 중 가장 거대한 규모의 기업 하이브가 1989년 SM기획으로 시작한 한국 엔터 기업의 역사, SM을 인수한 겁니다. "이수만 전 총괄 프로듀서는 하이브와의 협력을 위해 자신이 보유한 엔터테인먼트 지분을 하이브에 양도하기로 했습니다" (이수만과 하이브, SM엔터테인먼트 미래를 위한 공동 성명서) 지난 2월 3일 SM타운 유튜브 채널에 'SM 3.0: IP 전략' 영상이 올라온 지 정확히 일주일 후 벌어진 일이었습니다. 이 영상에서 이성수, 탁영준 공동 대표이사는 SM엔터테인먼트의 대대적인 수술과 개혁을 선언했는데요. "여러분들께서 인지하고 계신 것처럼 SM은 중대한 변화의 갈림길에 서 있습니다" (이성수, 탁영준 공동 대표이사) 팬 중심, 주주 중심의 경영 아래 멀티 레이블, 멀티 프로듀싱 체제를 선언했습니다. 무한 경쟁의 시대가 열릴 것으로 보였습니다. 이후 2월 7일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SM엔터테인먼트 지분 9.5%를 확보했다는 소식이 들려왔습니다. SM이 제3자 배정 유상증자 형태 발행하는 123만주 규모의 신주를 인수하고, 전환사채 인수를 통해 114만주를 확보한 카카오엔터는 순식간에 SM의 2대 주주가 됐습니다. 하지만 이수만 프로듀서는 변화를 두고 보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독한 결정을 내렸습니다. 자신의 지분을 경쟁사 하이브에 넘긴 것이지요. 현재 경영진과 카카오엔터, 이수만과 하이브의 대결 구도가 형성된 가운데 하이브는 공개매수를 통해 25%까지 지분을 추가 확보할 계획이라 선언했습니다.
김도헌
2023-02-14
3000억원 음악 저작권 보유한 비욘드뮤직, 저작권 투자의 앞날은
*이 글은 외부 필자인 김도헌님의 기고입니다. 지난해 12월 한 인터뷰 기사가 화제를 모았습니다. 중앙일보의 디지털 뉴스 유료화 모델 서비스 '더 중앙 플러스'가 준비한, 혁신기업 전략을 심층 취재하는 '팩플 인터뷰'의 새로운 시리즈 '90년대생 창업자'의 첫 번째 기사였죠. 인터뷰의 주인공은 2021년 5월 음원 저작권 전문 투자 매니지먼트 회사 비욘드뮤직을 설립한 93년생 이장원 대표였습니다. (참조 - "신곡 설령 좋아도 관심없다") (참조 - 비욘드뮤직 홈페이지) 음악 비즈니스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에게 비욘드뮤직은 2022년 가장 뜨거운 화제를 모은 회사였습니다. 2022년 6월 7일의 거래가 결정적이었죠. 이날 비욘드뮤직은 인터파크 음악사업부가 소유한 음악 저작인접권을 전량 인수하며 총 878곡, 금액 규모로는 500억원대의 저작인접권을 보유하게 됐습니다. 비욘드뮤직은 이날의 거래로 총 2만 5000곡 이상의 저작인접권을 보유하며 3000억원 이상의 음원 저작권 자산을 운용하는 회사가 됐습니다. (참조 - 비욘드뮤직, 500억 규모 인터파크 IP 인수) 이장원 대표는 2022년 안에 자산운용액(AUM) 1조원을 목표로 내걸었고요. 음원 저작권 비즈니스는 최근 음악 시장에서 가장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는 사업 분야입니다. 해외에선 일찍이 음악 저작권 비즈니스에 관심을 갖고 투자하기 시작했는데요.
김도헌
2023-01-27
1